정부초청외국인장학사업(GKS) 확대에 따른 운영효율화 방안 등 연구 정책연구 용역 입찰 공고

 

나라장터 >링크<

 


 

연구내용

수학대학 개방화 시행방안 및 장학생 선발업무의 효율화 방안 제언

GKS 국가별 선발인원 배정기준 표준화

특화과정의 운영성과 측정 지표 개발

 

용역 기간

   : 계약체결일 ~ 2024.12.13.(7개월)

사업 예산

   : 50,000,000(금오천만, 부가가치세 포함)

□입찰 일시

   입찰 개시일자 2024.04.24. 10:00

   입찰 마감일자 2024.04.29. 10:00

연락처

고등교육국제화부
국제장학센터
센터장 이정규 TEL : 02-3668-1366 FAX : 02-743-4992
담당자 신은정 TEL : 02-3668-1368
기획조정부 기획재정팀 계약담당자 이혜연 TEL : 02-3668-1327  

20240427667-00_1713320981813_입찰공고문_정부초청외국인장학사업(GKS) 확대에 따른 운영효율화 방안 등 연구 정책연구 용역.pdf
0.27MB
20240427667-00_1713320981815_제안요청서_정부초청외국인장학사업(GKS) 확대에 따른 운영효율화 방안 등 연구 정책연구 용역.hwpx
0.26MB

[교육부][용역] 글로벌 교육·인재 전략 마련에 관한 연구

 

나라장터 입찰 >링크<

 


 

1. 과업내용

. 글로벌 교육 이니셔티브 선도를 위한 신규 아젠다 제안

유학생 유치·양성 후속조치, 교사가 이끄는 교실혁명(Classroom Revolution Initiative), 국내 에듀테크 해외진출, 글로벌 교육교류 사업 교육 ODA, 한국어교육/재외동포 교육 지원 등 논의

. 글로벌 인재양성 및 유치 관련 정책 밋 제도 개선방안 연구

학계 및 현장 이해관계자 등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검토하여 정책환경 변화에 따른 체계적인 정책 과제 발굴

. 글로벌 인재 양성을 위한 국제대학원 발전 방안 연구

국내·외 교환학생/공동·복수학위 지원, 국내·외 기업 및 비영리기관·국제기구 취업 연계 지원, 국제대학원 간 교류 방안

. 글로벌 교육교류·협력 사업 및 교육 ODA 운영 및 개선방안 도출

HW·SW·인적교류 통합지원, 협력국 수요와 국가전략(해외인재 유치 등) 조화, 아프리카·중남미 협력국 확대, 민간·국제기구와의 협력 강화

. 유학생, 재외동포 교육지원, 해외 한국어교육 관련 제도 및 정책 제언

중등단계 유학생 유치·양성, RISE 연계 지역 해외인재 유치,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제 비자제도 개선 연구

한국유학으로 이어지는 해외 한국어교육 지원, 국가별/지역별 재외동포 네트워크 한민족 정체성 함양 교육 지원 등 논의

 

2 과업기간

    : 계약체결일로부터 6개월

 

3. 소요예산

    : 50,000,000(부가가치세 포함)

 

4.입찰 일시

     입찰 개시일시 : 2024.04.22. 10:00

     입찰 마감일시 : 2024.04.26. 10:00 

     

 

5. 제출서류 및 문의사항 연락처

제출서류 : 공고서 참조, 나라장터(온라인) 제출 (대표자 인감 날인)

제출기한 및 입찰장소 : 공고 사항에 따름

제안서 작성 관련 문의처 : 글로벌교육정책담당관 서연주 주무관(044-203-6754)

 

 

20240425306-00_1713237143407_입찰공고문(안) (글로벌 교육&middot;인재 전략 마련에 관한 연구).hwpx
0.08MB
20240425306-00_1713237143415_과업지시서(글로벌 교육&middot;인재 전략 마련에 관한 연구).hwpx
0.06MB
20240425306-00_1713237143420_제안요청서(글로벌 교육&middot;인재 전략 마련에 관한 연구).hwpx
0.06MB

극한소재실증연구기반조성 사업 추진단장 공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초고온, 극저온, 초고압, 산화‧부식 등과 같은 극한환경에서 활용되는 국가전략 소재인 극한소재의 시험평가와 시범생산 등이 가능한 실증기반을 조성하는 극한소재 실증연구 기반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동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경험과 능력을 갖춘 전문가를 모시고자 극한소재 실증연구 기반조성사업 추진단장 공모를 아래와 같이 추진하오니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4년 4월 11일

<주무부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이종호

<전문기관> 한국연구재단 이사장 이광복


1. 사업 목적

초고온·극저온·특정극한 분야의 극한소재 실증연구 지원을 위한 극한소재 One-Stop 실증기반 구축

 

2. 사업 내용

 

(사업기간/총사업비) 2023~ 2028/ 3,096.5억원(국비 2,580.5억원)

 

(추진기관) 과기정통부 / 한국연구재단 / 한국재료연구원(극한소재실증연구기반조성사업 추진단)

 

(사업규모) 극한소재(초고온·극저온·특정극한) 실증을 위한 3개 시설 및 실증연구장비 44종 구축, 실증연구과제 28개 지원

3. 선정절차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공모 및
신청서 접수
평가 및
적격 후보자 추천
(서류 및 면접)
추천 후보자 검토심의 및
최종 1인 선정
최종 1인 임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
(추진단장후보 추천위원회) (사업추진위원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4. 신청 기간 및 방법

신청 기간 : 2024411() 2024510() 18:00까지

구 분 내 용
추진단장 신청 기간
(신청마감일)
2024. 4. 11. ~ 2024. 5. 10. 18:00 까지
신청 절차 추진단장 전자공문 접수 오프라인 서류 제출

신청마감일까지 전자공문 발송 접수 기준

 

5. 문의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융합기술과 (전화 : 044-202-4568)

대전시 유성구 가정로 201 한국연구재단 국책연구본부 나노ㆍ소재단

구분 담당 전화 E-mail
접수 관련 국책연구본부
나노·소재단
(042) 869-7859 hj@nrf.re.kr

 

2024년도 극한소재실증연구기반조성 사업 추진단장 공고 안내문.hwpx
0.08MB
별첨1_추진단장 신청서류 및 서식.hwp
0.05MB
별첨2_개인정보제공동의서.hwp
0.08MB
별첨3_극한소재실증연구기반조성사업_개요.hwp
1.43MB

4단계 BK21 사업의 우수한 참여대학원생(박사과정/박사수료)에게 국외연수 기회를 부여하고 해외연수를 통해
글로벌 역량을 가진 대학원생을 육성하고자, 다음과 같이 우수 대학원생 해외연수 지원 계획을 공고합니다.

 

 

 

2024년 4월 8일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이 주 호

 

 


 

 

 

1. 추진목적

BK21 참여 대학원생에게 국외 연수 기회를 부여하여 국제기관 공동 연구를 장려하고 해외 연구자와 네트워크 구축 기회 부여

국제기관과의 협력연구를 통해 높은 수준의 연구업적 창출을 독려하고, 해외연수를 통해 글로벌 역량을 가진 대학원생 육

2. 지원내용

지원대상

4단계 BK21 사업 교육연구단()의 참여대학원생 중 다음 조건을 만족하고 높은 수준의 연구 및 글로벌 역량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충분한

- 대한민국 국적이며 접수 마감일 기준으로 박사과정 및 박사수료인

- 신청서 접수 마감일 기준으로 참여대학원생(박사과정 포함) 등록되어 있는 자 중 3개월 이상 4단계 BK21 사업에 참여한 자

- 국제 공동연수 기간 중 박사학위 취득 계획이 없는 자

- 과학기술원 제외(한국과학기술원(KAIST), 울산과학기술원(UN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지원내역

국외 대학 등 기관에서 협력연구 또는 연수를 할 수 있는 국제 공동연수자에게 항공료 및 연수비 지원

 

지원규모

국제 공동연수자 200명 내외, 5,200백만원

지원기간

 1(12개월)

지원금액

 연수생 1인당 최대 2,600만원 지원

 

3. 신청방법

신청기간

 2024.4.8.() ~ 2024.5.10.(), 18:00까지

구분 일정 비고
사업공고 국제 공동연수 지원 사업 공고 2024.4.8.()
대학 선발 자체 선정 공고 및 신청서 접수 2024.4.8.() ~ 5.10.()
대학 자체 선발평가 2024.5.13.() ~ 5.24.()
최종추천자 선정 결과 재단 송부 ~ 5.31.() 평가결과보고서 포함
재단 선발 신청서 접수 2024.4.8.() ~ 5.10.()
요건검토 5월 중
평가위원회 평가 6월 초
최종선정 6월 중 대학 자체 평가결과 보고서 검토
선발대상 확정 선발대상 확정 및 통지 6월 말

 

제출서류

 자체 선발 대학 평가결과보고서 및 재단 선발 대상자 제출 서류

- 자체 선발 대상 대학 : 평가결과보고서(양식 별도 안내 예정)

- 재단 선발 대상 : 연수지원 신청서 및 국제 공동연수 계획서 등

제출방법

 대학에서 제출 서류 취합하여 재단에 전자공문으로 제출

 

4. 문의처

한국연구재단 BK21사업팀 신희정 연구원

- (유선) 042-869-6449 / (이메일) shj@nrf.re.kr

(공고문)2024년+4단계+BK21+사업+우수대학원생+국제+공동연수+지원+계획+공고문_240408.hwp
0.09MB
(별첨1)대학별+국제+공동연수자+선발인원+배분표.pdf
0.04MB
(별첨2)국제+공동연수자+대학+선발+평가+가이드.pdf
0.35MB
(별첨3)연구업적물+세부분야.xlsx
0.10MB

2024년도 상반기 원자력정책연구사업 재공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원자력정책 개발과 제도개선 등에 활용하고자 원자력정책연구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이와 관련하여 2024년도 상반기 원자력정책연구사업으로 다음 과제를 재공모하오니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4년 4월 9

 

<주무부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이종호

<전문기관>     한국연구재단 이사장                 이광복

 

  • ※ 대상과제: 원자력 분야 기획· 정책연구(기술 및 동향에 대한 조사·분석 등) 관련 총 2개 과제(140백만원)
  • ※ 연구책임자 신청기간(신청마감일)~2024.4.15.(월) 18:00 / 주관연구개발기관 검토·승인기간: ~2024.4.16.(화) 18:00

 


 

 

1. 사업목적

원자력 분야 정책의 개발 또는 주요 현안에 대한 기획연구, 원자력 기술 및 동향에 대한 조사분석 등을 목적으로 정책연구를 추진하는 사업

 

2. 대상과제

원자력 분야 기획정책연구(기술 및 동향에 대한 조사분석 등) 관련 2개 과제(140백만원)

연번 과 제 명 정부지원
연구개발비
(백만원)
기간
(개월)
1 SMR 기술개발 및 지원 방안 법제화 연구 90 9
2 국내 방사선 유휴장비의 아태지역 기술이전 활용 및 지원방안 연구 50 8
합 계(3개 과제) 140 -

연구과제계획서 평가 결과에 따라 수행기관 및 연구책임자 선정

과제평가 시 연구비 및 연구기간 조정 가능

 

3. 신청기간

구 분 내 용
연구책임자 신청 기간
(신청마감일)
2024. 4. 9() ~ 4. 15() 18:00까지
주관연구개발기관 검토·승인기간 2024. 4. 9() ~ 4. 16() 18:00까지
신청 절차 연구자 접수 주관연구개발기관 승인 신청 완료

 

4. 기타사항

(영리기관(기업)) 참여기업의 연구개발비 출연·부담

참여기업이 영리기관(기업)일 경우,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제16조 및 시행령 제19 2항에 따라 연구개발성과를 국가의 소유로 함으로 기관부담연구개발비를 면제

적용 법령 및 규칙

동 사업은원자력정책연구사업 관리지침에 특별한 규정이 없는 사항은국가연구개발혁신법,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과학기술분야 연구개발사업 처리규정등을 준용한다.

 

5. 문의처

(온라인 입력 및 제출관련 문의)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 : 1877-2041

(과제관련 문의) 한국연구재단 국책연구본부 원자력단

: 042)869-7799 / E-mail : choekyumin@nrf.re.kr

 

6. 제안서

원자력정책연구과제 제안서(1)
제안과제명 SMR 기술개발 및 지원 방안 법제화 연구
소요연구기간 9개월 소요연구비 90백만원
연구목적 전력의 안정적 공급과 탄소중립 목표 모두를 달성하기 위한 원자력 에너지의 중요성 부각이 되고 있고, 전 세계 원전 시장이 대형원전에서 안전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된 SMR로 이동하는 상황 등을 고려해, 국내 SMR 개발사업에 민간 참여를 진작할 구체적 방안 필요. 이에 선진 원자력 국가의 관련 법률 및 국내 원자력 산업의 현실 등을 바탕으로, SMR 특별법()을 마련
연구필요성 및 시급성 [필요성]
국가과학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해 12대 국가전략기술 중 하나로 선정된 SMR원활한 연구·개발·실증·상용화 등의 지원 근거 규정 마련 필요
[시급성]
정부, 국회, 산업계, 학계 등을 중심으로 SMR 특별법 제정에 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상황
주요
연구내용 및
추진방법
[연구내용]
SMR의 정의, SMR개발 로드맵 수립, 국가, 지방자치단체의 SMR 개발 사업 지원정책, 재원 조성, 지식재산권, 대국민 수용성 확대 방안 등 SMR 특별법()의 구체적인 규정 마련
[추진전략 및 방법]
SMR 관련 국내 법·제도 분석
- 국회에 기 발의된 중소형원자로 기술개발 및 기반조성 지원에 관한 법률안선진소형원자로 경쟁력 강화 및 상용화 촉진에 관한 법률안검토 후 개선방안 도출
- 현재 국내 입법 환경 및 행정제도 등을 분석한 후 이를 기초로 SMR 특별법 제정의 필요성/시사점 도출
SMR 관련 해외 법·제도 분석
- 해외 주요 원자력 강국들(미국, 영국, 캐나다 등 주요국 포함)SMR 관련 법률 및 제도 비교 분석
- 유사 입법례 분석을 통해 SMR 정의, 연구개발 등의 지원정책, 재원 조성, 지식재산권 등 SMR 특별법()의 주요 방향 도출
의견수렴을 위한 의견 조회, 자문회의 등 개최
- SMR 특별법() 제정 관련 국민·전문가 의견수렴을 위한 이해관계자 의견 조회, 전문가 자문회의 등 개최
활용방안 SMR 특별법() 마련
선행연구조사 없음
원자력정책연구과제 제안서(2)
제안과제명 국내 방사선 유휴장비의 아태지역 기술이전 활용 및 지원방안 연구
소요연구기간 8개월 소요연구비 50백만원
연구목적 국내 방사선 분야 유휴저활용 연구시설 및 장비를 대상으로 아태지역으로의 효율적인 이전 및 활용을 위한 지원방안 도출
연구필요성 및 시급성 아태지역 저개발국의 연구장비·기술이전 및 기술확산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국내 방사선 비활용 시설·장비의 아태지역 국가별 수요 맞춤형 방사선 유휴장비시설에 대한 기술이전 및 지원 방안이 부재한 실정임
국내 유휴저활용 연구시설·장비를 아태지역 연구기관·대학 등 수요기관으로 이전함으로써 현지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원체계를 마련하여 국가 간 기술협력 모델을 개발하고 지속적으로 이전·확산시키는 방안 추진 필요
주요
연구내용 및
추진방법
국내 방사선 분야 유휴저활용 연구시설 및 장비 현황 조사분석
- 방사선 분야 유휴 연구장비 현황 및 국내 관리 환경 검토
- 타 분야 유휴저활용 장비의 해외 이전 및 기술수출 사례 분석
아태지역 국가 대상 연구장비 활용 가능성 파악을 위한 수요조사 실시 및 현황 분석
- 아태지역 국가별 유휴·저활용 연구시설 및 장비 수요조사 및 이전 방안 마련
- 수요 대상국 연구시설 및 장비 이전을 위한 법·규제 등 제도 조사분석
주요 수요 대상국 선정 및 실태조사를 통한 현지 기술이전 활용 지원방안 마련
- 수요대상국 관련 기관 및 관계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서면조사 및 현장 방문 등을 통한 실태조사로 협력대상국 선정
RCA* 회원국 및 현지 네트워크 활용
- 유휴·저활용 연구시설 및 장비 현지 맞춤형 기술이전 지원책 마련
- 현지 기술이전 및 확산을 위한 체계적인 기술교육 및 컨설팅 등 운영방안 수립
* 아태원자력협력협정(Regional Cooperative Agreement for Research, Development and Training Related to Nuclear Science and Technology For Asia and the Pacific): IAEA 주도 원자력기술의 평화적이용을 도모하는 아태지역 정부기관 간 협정으로 현재 22개국이 참여하고 있음
활용방안 아태지역의 국내 방사선 유휴장비들에 대한 효율적인 이전 및 지원체계 구축으로 기술협력 정책수립에 활용
국내 방사선 분야 유휴장비의 해외 이전 및 지원 토대를 마련하고 향후 아태지역 국가들과의 수출 협력 지원체계 구축에 활용
선행연구조사 해당사항 없음

 

 

붙임1. 2024년도 상반기 원자력정책연구사업 재공고문.hwpx
0.06MB
붙임2. 2024년도 상반기 원자력정책연구사업 재공고 과제제안서.hwp
0.10MB
붙임3. 연구개발계획서 양식.zip
0.18MB
붙임4. 신규과제 기타증빙 양식.hwp
0.14MB

2024년도 제1차 인공아체세포 기반 재생치료 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 재공모

 

정부는 재생의료 분야의 혁신적 선도기술 확보를 위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다부처 공동사업으로 인공아체세포 기반 재생치료 기술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2024년도 인공아체세포 기반 재생치료 기술개발사업의 신규과제 선정계획을 공고하오니 과제를 수행하고자 하시는 해당분야 연구자께서는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4년 4월 4일

 

<주무부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이 종 호

<주무부처> 보건복지부 장관 조 규 홍

 

 


1. 추진목적

인공아체세포 (Artificial Blastema Cells) 기반의 재생치료 원천기술 확보 및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로 새로운 재생치료 기술의 실현 가능성 확인

2. 사업내용

다부처(과기정통부·복지부) 협력을 통한 역분화줄기세포 재생치료제 대비 종양 발생률이 낮고, 치료시 저비용으로 국민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인공아체세포(Artificial Blastema Cells) 기반 재생치료 원천기술 확보 및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로 새로운 재생치료 기술 개발 지원

 

3. 지원내용

선정 규모 : 2개 내역사업 / 2개 연구주제 / 2개 과제 내외 / 19억 내외

[1] 지원 분야 : 핵심과제별 신규과제 개요

분 야
(핵심과제)
RFP번호 연구주제명 선정 예정
과제 수
‘24년 지원규모
(억원)
인간ABC확인및 인자개발 2024-인공아체-I-01 인공아체세포 유도 신규인자 발굴 및 조절기술 개발 분야 1: 1개 내외 분야1: 9
ABC유도치료제개발 2024-인공아체-I-03 인공아체세포 기반 재생유도 간부전 치료제 개발 1개 내외 10

 

4. 신청기간 

구 분 내 용
공고 기간 2024. 4. 4. () ~ 2024. 4. 15. () 18:00까지
연구책임자 신청 기간 2024. 4. 4. () ~ 2024. 4. 12. () 18:00까지
연구수행기관 검토·승인기간 ~ 2024. 4. 15. () 18:00까지
신청 절차 연구자 신청 연구수행기관 승인 신청 완료

연구책임자 신청완료, 연구수행기관의 검토·승인이 완료되어야 신청이 완료됨

 

5. 향후 일정

일 정 내 용
2024. 4월 중 선정평가 실시
2024. 4월 중 사업 추진위원회 심의
2024. 4월 말 선정결과 공고
2024. 4월 말 연구개시

상기 일정은 추진 상황에 따라 향후 변동될 수 있음

평가 대상 및 일정은 개별 안내

 

6. 적용 법령 및 규칙 등

본 공고, 사업, 본 공고에 기재되지 않은 사항은 법령 과학기술기본법,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 국가연구개발혁신법,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개발비 사용 기준, 행정규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과학기술분야 연구개발사업 처리규정,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개발사업 종합시행계획관계 법령 및 규칙 등을 적용

 

7. 문의처

반드시 공고문 및 FAQ 확인 후 연구 수행기관을 통하여 질의 요망

 

(과제 제안요구서, 접수, 양식 관련 문의) 한국연구재단,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연구주제번호 전문기관 이메일
2024-인공아체세포-I-01 한국연구재단 신약단 nrfbio@nrf.re.kr
2024-인공아체세포-I-03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첨단재생의료R&D jinie23@khidi.or.kr

(평가 관련 문의)

연구주제번호 전문기관 이메일
2024-인공아체세포-I-0103 한국연구재단 신약단 nrfbio@nrf.re.kr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IRIS) 관련 문의)

- IRIS 콜센터(1877-2041) 또는 IRIS 홈페이지 사용문의 게시판 활용

 

 

2024년 인공아체세포 기반 재생치료 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 제1차 재공고.hwpx
0.36MB
과제제안요구서(RFP)_2024년 인공아체세포 기반 재생치료 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 제1차 재공모.zip
0.17MB
계획서 및 별첨 양식, IRIS 매뉴얼 등.zip
8.79MB
생명자원 기탁 및 생명정보 등록에 관한 안내.hwpx
2.49MB

 

 

 

[나라장터 입찰 건] << 링크

 

1. 입찰에 부치는 사항

입찰건명 교육시설 재난 심리지원 효과성 검증 기획연구
용역기간 계약체결일 ~ 24. 09. 30. (6개월)
사업예산 39,880,000(부가가치세 포함)
세부사항 세부내용 제안요청서 참조
제안요청서 미숙지로 인하여 발생하는 모든 책임은 입찰자에게 있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2. 계약방법: 제한경쟁(총액), 협상에 의한 계약

3. 입찰방법: 전자입찰나라장터(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 www.g2b.go.kr)

 

4. 입찰서 제출 및 개찰

. 입찰서 제출기간: ’24. 3. 12.() 14:00 ’24. 3. 22.() 14:00

 

. 입찰서 개찰 일시 및 장소

1) 개찰일시: ’24. 3. 28.() 14:00 이후(제안서 평가 후 개찰)

2) 개찰장소: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나라장터)

 

5. 제안서 제출 및 접수

. 제안서 접수일시: ’24. 3. 12.() 14:00 ’24. 3. 22.() 14:00

. 제안서 접수: 방문 또는 우편 접수

. 제출서류(참고 서식은 제안요청서를 참고하며 순서대로 제출)

 

6. 제안서 평가

. 평가일시 및 장소: ’24. 3. 26.() 930(예정) / 안전원 9층 대회의실

평가일시 및 장소는 상황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20240315395-00_1710200776717_입찰공고문(교육시설 재난 심리지원 효과성 검증 기획연구).hwp
0.08MB
20240315395-00_1710200776727_제안요청서(교육시설 재난 심리지원 효과성 검증 기획연구).hwp
0.23MB


 

1.  연구과제명

교육시설 재난 심리지원 효과성 검증 기획연구

2. 추진 배경 및 목적

(배 경) 육시설 안전사고 발생 시 트라우마 예방을 위한 심리지원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됨에 따라, 국내 교육환경 여건에 부합심리지원 고도화 필요

             ※ 1) 2024년 국정 어젠다 정신건강지정 및 대통령 직속 정신건강 정책 혁신위원회 구성
                 2) 생 정신건강 문제를 전반적으로 다루는 학생 정신건강 및 사회·정서능력 교육 지원법(가칭) 법안 제정

(목 적) 국내외 선진 재난 심리지원 사례 조사 및 효과성 측정 연구과제 발굴 및 설계, 생명윤리위원회(IRB: Institutional Review Board) 승인 등 교육시설 재난 심리지원 효과성 검증 연구 기획

    - 국내 교육시설 전문기관으로서의 역량 및 입지 강화를 위해 주요 선진국교육시설 재난 심리지원에 관한 각종 정보 수집·분석

    - 교육시설 구성원 심리지원 고도화 방안 마련을 위한 효과성 측정 종단 연구 설계

3. 과업의 세부내용

국내외 관련 연구 및 심리지원 동향, 시사점

    - 시장/산업/과학 기술/정책 동향 및 선행사업, 연구 등 분석

    - 국내외 현장조사를 위한 사전준비 및 지원

효과성 검증의 필요성 및 논리 개발

    - 필요성, 시급성 및 예산 투자 필요 당위성, 기존 관련 또는 유사 사업과 차별성, 연계성, 미 추진 시 문제점 등 제시

    - 추진 전략에 따른 연구 추진 운영·관리 체계 도출

    - 요 시, 사업 추진을 위한 상위계획(국정과제 등)의 연계 과제 검토 및 접근 전략 등 마련

관련 연구과제 발굴 및 설계

     - 과제별 세부 수행 계획 수립

     - 단계별(단기·장기) 연구과제 선정 및 예산(투자) 계획() 제시

연구 활용·확산 계획

4. 연구기간

ㅇ 계약체결일 ~ 24. 09. 30. (6개월)

       * 연구 기간은 계약 일정 및 방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5. 소요 예산

ㅇ 금 39,880,000(VAT 포함)

6. 사업수행체계

ㅇ 수행기관 : 제안 요청서 상 연구 수행 (추후 연구진행을 위한 전반적 사전 기획)

ㅇ 발주기관(한국교육시설안전원) : 원활한 연구추진을 위하여 진도관리 및 관련 기관 등과의 협조 지원

7.  연구자 선정

ㅇ 제한경쟁 G2B(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 공고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43조에 의한 제한경쟁계약방식(협상에 의한 계약)

8.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ㅇ 중장기 계획 수립 및 예산협의 자료로 활용

ㅇ 효과성 검증 연구 진행의 추진근거와 계획을 마련하여 향후 연구 사업 추진 시 기초자료로 활용

 

교육부 공고 제 2024 - 24 호

 

2024년도 한-EU 교육협력사업 신규과제 공모

 

교육부에서는 한-EU 간 교육협력 네트워크 형성 및 교육협력 활성화를 위해 「2024년도 한-EU 교육협력사업」 신규과제를 다음과 같이 공모하오니 연구자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랍니다.

 

2024년 1월 23일

 

<주무부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 주 호

<전문기관> 한국연구재단 이사장 이 광 복

 

 

1. 사업목적

EU Erasmus+ EMJM* EMDM** 참여 국내기관 대응자금 지원을 통한 한-EU 간 교육협력 네트워크 형성 및 고등교육 학생교류 확대

 

2. 사업내용

지원근거 : 학술진흥법및 동법 시행령시행규칙,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지원분야 : Erasmus+ 2021-2027 EMJM EMDM 프로그램 연구분야

Erasmus+ 2021-2027 관련 EACEA(European Education and Culture Executive Agency) 홈페이지 참조(https://www.eacea.ec.europa.eu/grants/2021-2027/erasmus_en)

 

지원규모 / 기간

구 분 EMJM 참여 확정 EMDM 참여 확정
지원금액 과제당 연간 80백만원 내외 과제당 40백만원 내외
지원과제 수 2과제 내외 2과제 내외
지원기간 5년 이내* 1년 이내

 

지원내용 : EMJM 혹은 EMDM 파트너 기관으로 참여가 확정된 국내기관 활동 지원

   ㅇ 학생 및 교직원 교류비

   ㅇ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연구활동비, 운영경비(행정인력 고용 등)

3. 신청기간 및 방법

   ㅇ 신청기간 : 2024.2.1.() ~ 2024.2.23.(), 18:00까지(주관기관 승인 포함)

   ㅇ 신청방법 : 연구사업통합지원시스템(http://ernd.nrf.re.kr) 접속, 신청

 

4. 추진일정()

ㅇ 선정평가 : 2024. 3월초

선정공고 : 2024. 3월중

연구개시 : 2024. 3. 15(예정)

추진과정 상 일정 및 연구개시일 등 조정 가능

 

5 문의처

교육부 글로벌교육정책담당관실

   ㅇ 지다슬 사무관 044) 203-6759 / 이메일 govji@korea.kr

 

한국연구재단 구주아프리카협력팀

   ㅇ 양세형 연구원 02) 3460-5724 / 이메일 ysh9167@nrf.re.kr

   ㅇ 이은별 연구원(온라인접수) 02) 3460-5726 / 이메일 byeol@nrf.re.kr

 

전산 및 시스템 관련 문의 : 042) 869-7744(정보시스템지원팀)

 

붙임1. 2024년도 한-EU 교육협력사업 신규과제 공고문.hwp
0.08MB
붙임2-1. 2024년 한-EU 교육협력사업 과제계획서(EMJM 참여 확정) 양식.hwp
0.06MB
붙임2-2. 2024년 한-EU 교육협력사업 과제계획서(EMDM 참여 확정) 양식.hwp
0.06MB
붙임2-3. 개인정보 및 과세정보 제공동의서 양식.hwp
0.02MB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고 제 2024 – 0059호

 

「과학기술 혁신인재 양성」 內 「양자정보과학 인적기반 조성」 사업
2024년도 신규과제 공모(2차)
- 양자대학원 및 양자과학기술 협력네트워크 운영 분야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추진하는 「양자정보과학 인적기반 조성」 사업 중 양자대학원 및 양자과학기술 협력네트워크 운영 분야의 2024년도 신규과제를 아래와 같이 공모하오니 연구자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2024년 1월 29일

<주무부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이  종  호

<전문기관> 한국연구재단 이사장 이  광  복

 

양자과학기술 협력네트워크 분야 공모 내용

 

󰊱 지원 목적

자연과학·공학 등 학제 간 융합기반 구축 및 연구계·산업계와의 협력 네트워크 운영을 통한 발전적 양자생태계 조성

󰊲 세부 지원 기준

자세한 사항은 [붙임2] 과제제안요구서에서 확인

 

(필수성과) 국제컨퍼런스, 워크샵·세미나, 생태계 보고서, 정책지원 등 수행

(연구책임자) 양자 정보 분야에 학문적 전문성을 보유한 자이어야 함

 

신청기간

구 분 내 용
연구책임자 신청 기간
(신청마감일)
2024. 1. 29.() 2. 28.() 18:00까지
연구수행기관
검토
·승인기간
2024. 2. 29.() 18:00까지
신청 절차 연구자 접수 연구수행기관 승인 신청 완료

 

󰊲 향후 일정

일 정 내 용
2024. 3월 중 선정평가 실시
2024. 3월 말 사업 추진위원회 심의
2024. 3월 말 선정결과 공고
2024. 4 연구개시

 

문의처

 

(과제 제안요구서, 접수, 양식) 한국연구재단 국책연구본부 양자기술단

- 전화 : 042) 869-7835, 7832/E-mail : dayeong0921@nrf.re.kr

 

(선정평가) 한국연구재단 국책연구본부 국책사업평가2

- 전화 : 042) 869-7746/ E-mail : mhlee@nrf.re.kr

 

(정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양자과학기술산업과

- 전화 : 044) 202-6872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IRIS) 관련 문의)

- IRIS 콜센터(1877-2041) 또는 IRIS 홈페이지 사용문의 게시판 활용

 

 

양자정보과학 인적기반 조성사업 2024년도 신규과제 공모 공고(안).hwpx
0.50MB

 

[별첨 1] 연구개발계획서 서식.zip
0.23MB
[별첨 2] 증빙자료 서식.hwpx
0.10MB
[별첨 3] 신규과제 신청 FAQ.hwpx
0.10MB
[별첨 4] IRIS 관련 매뉴얼.zip
9.79MB

 

공모링크

 

2023년도 인문사회학술지원팀 정책연구용역과제 공모

 

한국연구재단이 아래와 같이 정책연구용역과제를 공모하오니, 관심 있는 연구자 여러분의 많은 신청을 바랍니다.

 

                                   2023년 12월 5일

한국연구재단 이사장

 

  1. 1. 과제 개요

 과제명 : 인문도시의 주요성과 분석 및 지속가능한 사업 발전 방향 연구

 연구 기간 : 2023. 12. ~ 2024. 3. (협약 체결일로부터 4개월 내외)

 연구비 : 50백만원

 연구 내용 : 정책연구용역과제 제안요청서(붙임 1) 참조

 

  1. 2. 공모 내용

 신청 자격

- 대학(교) 조교수 이상의 교원

- 정부출연연구기관 선임급 이상의 연구원(박사급)

- 해당 과제수행을 위한 역량을 갖춘 자로서 유사 사업 유경험자(경력 5년 이상)

ㅇ 신청 제한 대상(공고 마감일 기준)

-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제32조(부정행위 등에 대한 제재처분)로 인하여 학술연구지원사업(국가연구개발사업 포함) 제재 대상자

  • 「정책연구용역과제 관리지침」 제18조 제1항 각호에 해당하는 자
  1.    1. 연구용역비를 지급 목적에 위반하여 사용하거나 부당하게 집행하였을 경우
  2.    2. 허위 그 밖의 부정행위에 의하여 연구용역비를 지급받은 경우
  3.    3. 연구 진행 상황 보고를 하지 않거나 허위로 한 경우
  4.    4. 연구부정행위(표절, 변조 등)에 의한 연구 결과를 발표·제출한 경우
  5.    5. 연구책임자의 귀책 사유로 협약을 해약한 경우

- 한국연구재단을 평가하는 경영평가위원 등으로 임기 중인 자

- 대학 자체 감사, 교육부 감사 등을 통해 성희롱·성폭력 등 성비위 및 갑질로 징계가 확정된 교원 및 연구자

ㅇ 접수 기한 : 2023.12.5.(화)~12.15.(금) 18:00까지(기한 엄수)

※ 신청자가 없을 시 7일간 재공고 예정

 

 제출 서류

 소속기관 신청공문 1(산학협력단장 또는 소속기관장 직인 필수)

※ 산학협력단장 또는 소속기관장의 날인이 없는 공문과 신청서는 무효로 함

➁ 정책연구용역과제 신청서 1부(붙임 2 서식)

➂ 정책연구용역과제 신청용 연구계획서 1부(붙임 3 서식)

➃ 개인정보 및 과세정보의 제공·활용 동의서 1부(붙임 4 서식)

 

 제출 방법

- 제안요청서(붙임 1) 및 연구비 산정․집행기준표(붙임 5) 참조 후 연구계획서 작성

- 위의 신청서 등 구비서류 일체를 전자공문 또는 전자우편으로 제출

※ 전자공문 대외발송 불가 기관에 한해 이메일(schloarship@nrf.re.kr)로 신청(공문 포함)

 

  1. 3. 선정 방법

가. 평가 개요

ㅇ 평가 일자 : 2023년 12월 중순(예정)

※ 세부 추진 내용·일정 등에 따라 일부 변경 또는 조정될 수 있음

ㅇ 평가위원회 구성(안)

- 재단 내외부 전문가(PM 등) 5인 내외로 구성하되, 외부 전문가는 전체 위원의 과반이 원칙이며 이해관계자는 제외함

ㅇ 평가 방식 : 발표평가(연구 역량 30% + 연구계획서 70%)

ㅇ 평가 항목 : 정책연구용역과제 연구계획서 심사표(붙임 6) 기준

나. 평가 결과 : 「정책연구용역과제 관리지침」 제8조의 4·5항에 준용

ㅇ 복수응모과제의 경우, 평가 결과 산술평균 70점 이상을 얻은 과제 중에서 최고 점수를 득한 과제 선정

ㅇ 단독응모 과제의 경우, 산술평균 70점 이상을 얻은 과제 선정

※ 연구계획서 평가 결과 산술평균 70점 미만인 신청자는 제외되며, 「정책연구용역과제 관리지침」 제7조 제1항에 따라 홈페이지에서 7일 이상 재공고해야 함.

 

  1. 4. 선정 결과 통보 및 계약

ㅇ 선정된 주관연구기관(연구책임자)에 결과 통보

※ 단, 평가 결과 적합한 연구책임자가 없는 경우 선정하지 않을 수 있음

ㅇ 주관연구기관과의 계약 체결

- (계약 착수 및 완료일) 담당 부서와의 협의 결과에 따름

※ 계약해지 등의 사유가 발생할 시「정책연구용역과제 관리지침」 제9조(협약의 해약 등)를 준용함

 

  1. 5. 문의처 : 인문사회학술지원팀 성세희

ㅇ 유선전화 : 042-869-6729(월~목 09:00~17:00)

ㅇ 이메일 : scholarship@nrf.re.kr

붙임 1. 정책연구용역과제 제안요청서(RFP).hwp
0.10MB
붙임 2. (양식) 정책연구용역과제 신청서.hwp
0.04MB
붙임 3. (양식) 정책연구용역과제 신청용 연구계획서.hwp
0.05MB
붙임 4. 개인정보 및 과세정보의 제공&middot;활용 동의서.hwp
0.07MB
붙임 5. 연구용역비 산정&middot;집행기준표 및 최종보고서 지정 폰트.hwp
0.06MB
붙임 6. 정책연구용역과제 연구계획서 심사표.hwp
0.07MB

+ Recent posts